2025년 2분기, LG이노텍은 환율 급락과 관세 리스크로 인해 실적이 부진했지만, 하반기부터는 전장·기판 부문 중심의 실적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특히 2026년에는 광학·FC-BGA·CPU 기판 등 구조적 성장 동력이 가시화되며 현재 주가는 26년 예상 P/E 6.4배 수준으로 저평가 구간에 진입한 상태입니다.
2025년 하반기 LG이노텍 투자 전략
이번 글에서는 LG이노텍의 사업부별 실적 흐름, 환율·관세 영향, 성장 포인트, 투자 전략을 전문가 관점에서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2Q25 실적 요약 및 리스크 요인
사업부별 수익성 분석
하반기 실적 개선 요인
2026년 구조적 성장 포인트
밸류에이션 분석 및 투자 전략
마무리 인사이트
면책조항
📉 2Q25 실적 요약 및 리스크 요인
항목
수치
YoY 변화
매출
3.9조 원
-13.6%
영업이익
114억 원
-92.5%
컨센서스 대비
-73% 하회
환율 하락 영향: 2Q 평균 환율 1,402원 → 전분기 대비 48원 하락
관세 리스크: 북미 고객사 부품 가격 인하 압력 지속
수익성 괴리: 고환율로 매입한 원재료를 저환율로 판매 → 마진 축소
2Q 실적 부진은 환율·관세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일시적 충격으로 해석됩니다.
🧩 사업부별 수익성 분석
사업부
수익성 추정
특징
광학
-1.0%
계절적 비수기 / 스마트폰 수요 둔화
전장
+4.3%
고부가 제품 확대 / 원가 혁신
기판
+5.6%
북미향 반도체 기판 선제 공급 효과
광학 부문은 비수기 진입으로 실적 부진
전장 부문은 라이트닝·통신 모듈 중심으로 믹스 개선
기판 부문은 FC-BGA 중심으로 수익성 회복 중
전장·기판 부문이 광학 부문의 부진을 일정 부분 상쇄하며 하반기 실적 개선을 견인할 전망입니다.
반응형
📈 하반기 실적 개선 요인
베트남 생산 비중 확대 → 원가 경쟁력 강화
물동량 회복 → 작년 대비 개선된 출하량
FC-BGA 적자 축소 → 북미향 칩셋 공급 개시
전장 부품 믹스 개선 → 고부가 제품 비중 증가
3Q25부터는 분기별 영업이익 점진적 회복이 예상되며, 환율 안정화 + 관세 대응 전략이 효과를 발휘할 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2026년 구조적 성장 포인트
✅ 광학 부문
폴더블 스마트폰 확대 → 고사양 카메라 수요 증가
가변 조리개 탑재 → ASP 상승 여력
Siri 글로벌 업데이트 → 교체 수요 본격화
✅ 기판 부문
북미 고객사향 CPU 기판 공급 예정
FC-BGA 중심 구조적 성장 → 고부가 기판 확대
2026년은 광학·기판 부문 모두 P(가격)와 Q(물량)가 동시에 성장하는 구간으로 진입할 전망입니다.
💰 밸류에이션 분석 및 투자 전략
항목
수치비교
기준
26년 예상 P/E
6.4배
5년 평균 -1SD 수준
27년 예상 P/E
5.4배
P/B -2SD 하단
12MF EPS
개선 가시화
현재 주가는 실적 부진을 선반영한 저평가 구간
하반기 실적 개선 + 26년 성장 모멘텀 → 리레이팅 가능성
신규 폼팩터 등장 → 광학 ASP 상승 기대
하반기부터 매수 전략 유효하며, 2026년 구조적 성장 국면 진입 전 선제적 포지셔닝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