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및 건강 정보

💊 주사 NO! 알약으로 7.3kg 감량? '먹는 비만약' 시대가 온다

by coincaster 2025. 4. 22.
반응형

먹는 비만약 오포글리프론

 

비만 치료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그동안 주 1회 주사 형태로만 가능했던 비만약이,

이제는 하루 한 번 복용하는 알약으로 진화하고 있어요.

 

이제는 병원을 찾아가 주사를 맞지 않아도, 작은 알약 하나로

체중을 줄일 수 있는 시대가 열리려 하고 있습니다.

 

더 간편하고, 더 저렴하며, 무엇보다 일상 속에서 부담 없이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먹는 비만약은 비만 치료의 판을 바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오포글리프론이 뭐길래?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개발한 **오포글리프론(Opogliflozin)**은

하루 한 번 복용만으로 체중 감소 효과를 보인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입니다.

주사 형태였던 기존 GLP-1 약물을 알약으로 바꾼 획기적인 약이죠.

 

  • GLP-1: 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가시켜 다이어트에 효과
  • ✅ 기존 사용처: 당뇨병 치료 → 최근엔 비만 치료로 확장
  • ✅ 주목 포인트: 편리함 + 생산/유통 용이성 + 비용 절감 기대

📊 실제 임상 결과는?

릴리는 2형 당뇨 환자 559명을 대상으로 40주간 임상시험을 진행했고,

결과는 꽤 인상적이었습니다:

  • ▶️ 3mg 복용군: 평균 4.7% (4.4kg) 감량
  • ▶️ 12mg 복용군: 평균 6.1% (5.5kg) 감량
  • ▶️ 36mg 복용군: 평균 7.9% (7.3kg) 감량 💥

특히 12mg과 36mg 복용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보여줬고,

릴리 측은 "기존 주사제와 동등한 수준의 효능과 안전성"이라고 밝혔습니다.


⚠️ 기대 vs 우려: 부작용은?

물론, 모든 약물이 그렇듯 부작용은 여전히 논란거리입니다.

  • 🤢 흔한 증상: 메스꺼움, 소화불량, 설사, 변비 등
  • 🩺 국내에서도 위고비 처방 후 유사한 부작용 사례 증가

복용자 수가 늘어날수록 부작용 리스크는 커지기 때문에,

앞으로 얼마나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느냐가 상용화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어요.


💡 비만약의 미래, 어디까지 왔나?

  • 💊 오포글리프론은 2025년 내 체중 관리 목적 허가 신청 예정
  • 📈 FDA 승인 후 상용화되면, 비만 치료제 시장 판도 변화 예상
  • 💰 모건스탠리 전망: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약 205조 원 규모 성장

경구용 비만약의 성공은 기존의 주사제 시대를 끝내고,

편리하고 지속가능한 비만 치료의 대중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가 주사에서 알약으로. 더 간편해지면, 성공률도 높아질까?"

이제 당신의 다이어트 루틴도 바뀔지 모릅니다. ⏳

 

복부 비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