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과학

🚀 일본 KDDI, '스타링크 다이렉트' 상용화…위성과 스마트폰 직접 연결 시대 열리다

by coincaster 2025. 5. 7.
반응형

KDDI 스타링크 스마트폰

 

일본 최대 이동통신사 중 하나인 KDDI가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을

활용한 위성·스마트폰 직접연결(DTC, Direct-To-Cell) 서비스를 정식 상용화했습니다.

 

이는 아시아 최초로, 이제 일본에서는 지상 기지국 없이도 스마트폰으로

문자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 DTC 기술, 무엇이 다른가?

기존 위성 인터넷은 '게이트웨이'라 불리는 지상 중계장비를 거쳐야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DTC는 지상 기지국 없이 스마트폰과 위성이 직접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즉, 별도의 단말이나 안테나 없이 스마트폰만으로도 위성에 연결되는

새로운 네트워크 패러다임이죠.

스타링크 DTC 위성은 저궤도에서 지구를 돌며 LTE 장비가 탑재돼 있고,

고도가 낮기 때문에 일반 위성보다 빠른 반응 속도와 안정적인 커버리지를 제공합니다.

DTC 기술 통신사각지대 스타링크


🏝️ 통신 사각지대 해소 기대

KDDI는 일본의 도서 지역이나 산악 지형 등 기존 통신망이 닿지 않는 곳에

DTC를 통해 연결성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육지 기반 커버리지가 60%에 불과한 일본에서는 나머지 40% 음영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단말은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를 포함한 50여 종이며,

문자(SMS, RCS)는 물론 재난 알림, 위치 공유 등 응급 통신 수단으로서도 활용됩니다.


🤖 AI와의 결합…미래 통신 기술의 진화

특히 주목할 점은 AI와 위성통신의 결합입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구글의 제미나이(Gemini) AI를 통해

위성 기반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향후 데이터 통신도 지원 예정입니다.

이는 단순한 연결을 넘어선 지능형 위성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의미하며,

6G 시대를 향한 핵심 인프라로도 거론됩니다.


🌐 한국은 언제쯤?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아직 스타링크 인터넷 서비스가 초기 도입 단계에 있으며,

스마트폰과의 직접 연결(DTC)은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국산 단말기들이 현재 DTC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며,

표준화 및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통신 기지국이 소실되는 재난 상황에서는

DTC의 필요성이 부각될 수 있습니다.

최근 대형 산불과 같은 비상시에는 위성 기반 백업 통신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국내에서도 NTN 표준 기반의 위성·지상 통합 통신 인프라에 대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 결론: 하늘과 스마트폰을 잇는 새로운 연결성

KDDI의 '스타링크 다이렉트'는 단순한 서비스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것은 기술, 인프라, 위기 대응까지 포괄하는 미래 통신 생태계의 서막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이 같은 흐름을 예의주시하며,

기술적 주도권을 놓치지 않도록 장기적인 투자와 표준화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